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년 전 음악 이야기 vol.6] 2002년에 전성기를 맞은 아이돌 가수들
    20년 전 음악 이야기 2022. 2. 23. 08:45
    728x90
    반응형

    <Intro>
    1세대 아이돌 시대가 저물고, 아이돌 음악의 세계에도 새로운 바람이 몰려오고 있었다. H.O.T.가 해체하고 S.E.S.와 신화가 마지막 앨범을 준비하고 있는 등 한창 때보다는 한풀 꺾인 모습이었지만, SM 엔터테인먼트는 2002년에도 여전히 아이돌 산업에 있어서는 난공불락의 철옹성과 마찬가지였다. 반면 박지윤과 지오디(god)의 성공으로 상승세를 점진적으로 그려나가고 있던 JYP도 비, 별, 노을 등 신인그룹을 내놓는 등 그 성장 스토리도 눈여겨볼 만하다.

    <Chapter 1. SM Ent.>

    플라이 투 더 스카이(Fly To The Sky) 3집 [Sea Of Love] (왼쪽은 초판, 오른쪽은 재발매판)

    * 플라이 투 더 스카이(Fly To The Sky) 3집 [Sea Of Love]
    2002년 여름, 시원하면서도 어딘가 쓸쓸한 무드를 풍기는 미디움 템포 R&B를 들고 나온 팀이 있다. 바로 브라이언과 환희의 듀오로 구성된 그룹인 플라이 투 더 스카이(Fly To The Sky)이다. 이 정규 3집에는 안타까운 비화가 있는데, 멤버 중 브라이언이 비자 문제로 인해 미국에 머무를 수밖에 없어 앨범 녹음도 미국에서 따로 해야 했고 심지어 한국으로 입국하지 못하여 컴백 후 한동안은 환희 혼자 무대에 서야 할 때도 있었다. 게다가 앨범의 트랙리스트를 살펴보면, 두 멤버가 함께 부른 곡보다 솔로곡의 비중이 더 많다.
    아무튼 이 앨범의 타이틀곡 'Sea Of Love'로 플라이 투 더 스카이는 데뷔 이래 처음으로 음악방송 1위를 거머쥐기도 했고, R&B의 거장 브라이언 맥나잇(Brian McKnight)으로부터 선사받은 후속곡 'Condition Of My Heart'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 앨범을 기점으로 플라이 투 더 스카이는 아이돌에서 뮤지션으로 발돋움하였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보아 2집 [No.1] (왼쪽), 보아 2.5집 [Miracle] (오른쪽)&nbsp;

    * 보아 2집 [No.1]
    소속사인 SM 엔터테인먼트 내에서는 물론이고, 한국을 넘어 동아시아권에서 2002년에 가장 성공한 가수를 묻는다면 단연 보아를 꼽아야 할 것이다. 보아의 2002년 첫 성공은 한국이 아닌 일본에서였다. 3월에 나온 일본 첫 정규 앨범인 [Listen To My Heart]가 오리콘 차트 1위에 오르는 쾌거를 거둔 것이다. 게다가 연이어 발표한 한국 정규 2집 앨범 [No.1]의 타이틀곡 'No.1'까지도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보아는 만 열다섯의 나이에 한국과 일본을 통틀어서 가장 성공한 가수가 되었다.

    * 보아 2.5집 [Miracle]
    보아의 일본 발매곡을 한국어 가사로 번안하여 다시 녹음한 스페셜 앨범이다. 일본에서 대성공을 거둔 'Listen To My Heart'와 'Valenti'를 비롯하여, 'Feelings Deep Inside (마음은 전해진다)', 'Every Heart', 'Nobody But You' 등이 수록되어 있다.

    SMTOWN 여름 앨범 (왼쪽), 겨울 앨범 (오른쪽)

    지금이야 젤리피쉬나 안테나 등지에서 소속 가수들이 한데 모여 컴필레이션 앨범을 제작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지만, 당시만 해도 SM 엔터테인먼트의 'SMTOWN' 프로젝트는 SM만의 고유한 영역인 것처럼 느껴졌다. 물론 YG Family나 상마인드(Sangmind)의 프로젝트 그룹 브로스(Bros) 등이 있긴 했지만, 일회성 프로젝트 성격이 강했던 반면 SMTOWN 프로젝트는 2000년 겨울에 처음 시작된 후 지속적으로 결과물이 나왔다. 특히 2002년에는 처음으로 여름 앨범도 내놓게 되면서 SM 덕후들의 마음을 풍요롭게 만들기도 하였다.


    <Chapter 2. JYP Ent.>

    박지윤 5집 [MAN] (왼쪽), 지오디(god) 5집 [Chapter 5. Letter] (오른쪽)

    * 박지윤 5집 [MAN]
    청순가련형 가수 박지윤은 2000년, 정규 4집 앨범 [성인식]을 프로듀서 박진영 휘하에서 발표하면서 커리어 사상 최대의 이미지 변신을 감행했다. 비록 호불호가 갈리긴 했지만 '성인식'은 대히트를 기록했다. 이 여세를 몰아 박지윤은 2002년 1월, 다음 앨범인 정규 5집 [MAN]을 발표한다. 이 5집 앨범의 타이틀곡은 '난 남자야'로, 무려 '남장'을 하며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나갔다. 4집과 5집이 워낙 콘셉트에 충실한 앨범이다 보니 다른 수록곡들이 묻힌 감이 없지 않은데, 특히 5집에 좋은 곡이 매우 많다. 몽환적인 느낌의 '백조', 비의 랩 피쳐링이 돋보이는 '그냥 사랑하면 되는데', 노을과 함께 호흡을 맞춘 '날 기다려 준 그대 곁에', 가성 창법을 절제하고 사랑스러움이 뚝뚝 묻어나는 진성 창법으로 부른 '난 사랑에 빠졌죠' 등이 수록되어 있다.

    * 지오디(god) 5집 [Chapter 5. Letter]
    친근한 이미지로 팬덤 외부에서도 호감형 이미지를 구축했던 그룹 지오디도 2002년 12월에 정규 5집을 발표한다. 3집 '거짓말'과 4집 '길'이 연속으로 큰 성공을 거둔 만큼, 5집도 많은 기대를 모았지만, 다소 무난한 느낌의 타이틀곡 '편지'는 흥행 연속 행진을 이어가기엔 역부족이었다. 밝은 댄스 음악인 '0%'를 후속곡으로 하여 활동을 이어나갔지만, 확실히 3, 4집 때만큼의 화력에는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대중적인 흥행 측면에서는 주춤한 모습을 보였지만 음악적인 측면에서는 확실히 성장한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김태우의 자작곡인 '사랑? 사랑!'을 들어보면 메인 보컬로서의 김태우가 예전에 비해 월등히 나아진 가창력을 선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 1집 [n001] (맨 왼쪽), 별 1집 [12월 32일] (가운데), 노을 1집 [노을] (맨 오른쪽)

    사실 2002년의 JYP는 이미 고인물이 된 박지윤이나 지오디(god)보다는 새롭게 등장하게 된 신인들을 주목하는 편이 더 낫다. 중후한 음색과 화려한 댄스 실력으로 확실한 존재감을 대중에게 각인시키는 데에 성공한 비(본명 정지훈), 허스키하고 애절한 목소리로 발라드에 강세를 보였던 별(본명 김고은), 그리고 4인조 남성 R&B 보컬 그룹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모바일 프로모션을 시도했던 노을(전우성, 이상곤, 나성호, 강균성)이 각각 데뷔 앨범을 발표했다.

    * 비 1집 [n001]
    '나쁜 남자'를 데뷔곡으로 하여 강렬하게 첫 등장을 했던, JYP의 남성 솔로 가수 비는 데뷔 초창기 때만 해도 그렇게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비가 대중의 뇌리에 확실하게 남게 된 계기는, 모 예능 프로그램에 나와서 어디서도 듣지도, 보지도 못했던 저 세상 댄스 퍼포먼스를 선보이면서부터였다. 유승준 이후로 저렇게 춤을 잘 추는 가수는 처음 본다는 평가가 있기도 했다. 좋은 여론을 발판 삼아, 비는 거의 곧바로 '안녕이란 말 대신'으로 후속곡 활동을 이어나가는데, 강렬한 비트와 시크한 콘셉트로 밀고 나갔던 '나쁜 남자' 때와는 달리 귀여움을 어필하며 많은 인기를 누렸다.

    * 별 1집 [12월 32일]
    군인들이 제일 싫어하는 노래로 최고봉에 꼽힌 별의 데뷔곡 '12월 32일'도 이 시기에 발표되었다(내년이 와야 제대를 하지...). 별이 가진 허스키하면서도 고운 결의 목소리는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발라드 감성을 표현하는 데에 그야말로 최적의 소스였다. '12월 32일'의 반응이 워낙 좋아서 이 곡으로 꽤 오랫동안 활동했던 기억이 있고, 밝고 귀여운 느낌의 후속곡 '왜 모르니'도 소소한 반응이 있었다.

    * 노을 1집 [노을]
    노을의 데뷔는 앨범이 채 나오기도 전부터 이미 화젯거리가 되어 있었다. 이른바 모바일 프로모션이라는 새로운 홍보 방식을 시도했기 때문인데, '쟤들 대체 누군데 박진영이 이렇게 밀어준단 말이야?'라며 반신반의하면서도 은근히 기대하는 대중들이 꽤 많았다. 멤버들도 이에 대한 부담감이 상당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어쨌든 '붙잡고도'라는 곡을 타이틀로 한 데뷔 앨범은 무사히 세상 빛을 보게 되었다. 하지만 야심차게 시도했던 모바일 프로모션에도 불구하고 노을의 데뷔는 중박 이상이라고 보기에는 힘들 만큼 소소한 반응을 보였다. 아마 홍보를 조금 더 일반적인 방식으로 진행했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았을까? 앨범 자체가 나쁘지는 않았으니까 말이다.


    * 번외편

    블랙비트 1집 [Black Beat #2002] (맨 왼쪽), 이삭N지연 1집 [ISAK N JIYEON] (가운데), 신비 1집 [15 to 30] (맨 오른쪽)

    * 블랙비트 1집 [Black Beat #2002]
    대표곡 : 날개
    추천곡 : In The Sky

    * 이삭N지연 1집 [ISAK N JIYEON]
    대표곡 : Tell Me Baby
    추천곡 : One

    * 신비 1집 [15 to 30]
    대표곡 : To My Friend
    추천곡 : Darling

    악동클럽 1집 [Remember Hero] (맨 왼쪽), 베이비복스 스페셜 앨범 [Special Album], 포유(4U) 1집 [4U] (맨 오른쪽)

    * 악동클럽 1집 [Remember Hero]
    대표곡 : Remember

    * 베이비복스 스페셜 앨범 [Special Album]
    대표곡 : 우연 (우울한 우연)

    * 포유(4U) 1집 [4U]
    대표곡 : In My Heart

    러브(LUV) 1집 [Story] (맨 왼쪽), 슈가 1집 [Tell Me Why] (가운데), 쥬얼리 2집 [Again 02] (맨 오른쪽)

    * 러브(LUV) 1집 [Story]
    대표곡 : Orange Girl

    * 슈가 1집 [Tell Me Why]
    대표곡 : Tell Me Why
    추천곡 : Fade Away

    * 쥬얼리 2집 [Again 02]
    대표곡 : Again

    * 블로그 오른쪽 상단 구독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 많은 자료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여러분들의 구독이 많은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